이주열 한은총재 연내 기준금리인상 공식화
상태바
이주열 한은총재 연내 기준금리인상 공식화
  • 이정숙 기자
  • 승인 2021.06.11 08:4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열 총재 11일 71주년 기념사 “완화적 통화정책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연내 금리인상을 공식화했다. 유가를 비롯한 각종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전세계에서 인플레이션(물가 전반이 지속해서 상승하는 현상) 압력이 높아지고 있는 데 대한 대응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한은이 연내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경우 엄청난 부채를 진 가계에 큰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주열 총재는 11일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현재의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하겠다"고 밝혔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 총재는 기념사에서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이라는 조건을 달았지만 통화정책의 정상화 즉 기준금리 인상을 하반기 이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사항 1순위로 꼽았다.

그는 "그간 취해온 확장적 위기대응 정책들을 금융·경제 상황 개선에 맞춰 적절히 조정해 나가는 것은 우리 경제의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대응해 전례없이 과감하게 취한 경기부양조치들은 위기 극복에 도움이 됐다고 이 총재는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이 과정에서 불균형과 불평등이 확대된 점도 인정했다. 이 총재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각국의 정책당국이 시행한 전례없이 과감한 경기부양조치들은 갑작스럽게 닥친 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경기의 과도한 위축을 방지해 고용 및 소득 불안정을 완화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면서도 "이 과정에서 부문간·계층간 불균형이 확대된 것도 사실이다. 자산불평등이 심화됐으며, 민간부채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최근엔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는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향후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황과 주요국 통화정책 기대 변화 등에 따라 국내외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는데 따른 대응 조치도 강조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와 품목별 기여도. 사진=한국은행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와 품목별 기여도. 사진=한국은행

한은은 10일 '통화신용정책 보고서(2021년 6월)'에서 코로나19 백신접종 확대 등으로 경제활동이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물가 오름세 압력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았다. 앞으로의 물가 흐름에 대해 이같이 평가했다. 

한은은 "최근 물가 동향과 주요 여건에 비춰 보면, 앞으로 농축산물 가격 오름세는 둔화할 것"이라며 "하지만 국제유가가 지난해 수준을 상당폭 넘어서고 (소비 등) 수요 측 물가압력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분기(4~6월) 중에는 물가안정 목표 수준인 2%를 웃돌다가, 하반기에는 2% 안팎 수준에서 오르내릴 것으로 한은은 내다봤다.  4월과 5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각각 2.3%, 2.6%를 기록하면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한은은 최근의 금융불균형 상황에 대해 "금융안정측면에서는 가계대출이 큰 폭의 증가세를 이어가고 주택가격도 수도권과 지방 모두에서 높은 오름세를 지속하는 등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에 유의할 필요성이 증대됐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2019년 이후 주택가격 오름세와 가계대출 증가세가 동반 확대되면서 GDP(국내총생산) 대비 가계 부채비율이 2018년 말 91.8%에서 2020년 말 103.8%로 크게 높아졌다"면서  "이에 따라 2020년 말 우리나라 가계부채 비율은 OECD 37개국 중 6번째로 높은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시장불안 요인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화 조치를 적기에 취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부동산, 주식뿐 아니라 암호자산으로까지 차입을 통한 투자가 확대되면서 가계부채 누증 문제가 더욱 심각해진 상황"이라면서 "대출상환유예 등 코로나19 지원조치가 종료될 경우 다수의 취약차주가 채무상환에 애로를 겪게 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정부·감독당국과 함께 적절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이정숙 기자 kontrakr@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