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3.7%와 캐나다 조기 총선
상태바
소비자물가 3.7%와 캐나다 조기 총선
  • 박고몽 기자
  • 승인 2021.08.22 21: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요즘 캐나다는 시끌벅쩍하다.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재확산 속에 조기 총선 바람이 불고 있는 탓이다. 선거 쟁점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도 등장했다. 선거철임을 실감한다.

지난 20년간 캐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올해 7월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7%를 기록했다. 사진=CBC
지난 20년간 캐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추이.올해 7월 캐나다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은 3.7%를 기록했다. 사진=CBC

캐나다통계청은 지난 18일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3.7%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6월 상승률 3.1%는 물론 전문가 예상치 3.4%보다 높다. 10년 사이 최고치다. 중앙은행 관리 목표 2%에 비하면 거의 두 배수준으로 치솟았다. 한국 같으면 물가관리에 비상이 걸렸다는 말이 나올 법하지만 의외로 조용하다. 정치권만 떠들 뿐이다.

소비자 물가가 이처럼 높은 치솟은 이유는 여러 가지다. 우선 지난해 코로나19 발생에 따른 경기침체로 물가가 급락한 데 따른 기저효과를 꼽을 수 있다. 지난해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1%였다. 지난해 7월 이처럼 낮았으니 그만큼 많이 오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둘째는 코로나19 이후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고 경제활동을 재개하면서 수요가 늘어나 물가가 상승했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여행 증가로 자동차 수요가 늘면서 자동차 가격이 상승하고 휘발유 가격이 오른 게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승용차 가격은 5.5% 올랐다. 여기에는  전세계 자동차용 반도체 칩 부족으로 자동차 가격이 오른 것도 영향을 미쳤음을 부인할 수 없다. 신차 공급 부족은 중고차 가격을 끌어올렸고 이 또한 물가 상승에 기여했다고 보는 게 온당하다. 단순히 말하면 수요 공급 원리가 작동한 것이다.

식품가격은 그나마 1.7% 올랐다 식품 중에서는 쇠고기 가격이 3.1% 올랐고 유제품 가격은 3.5% 상승했다. 반면, 신선채소와 과일 가격은 각각 7.5%, 0.6% 내렸다.

공급차질과 비용증가로 가구가격은 13.4% 상승했다. 또 주택 소유와 임대와 관련된 비용 지수인 주택소유자대체지수는 6월 12.9%에 이어 7월 13.8% 상승하면서 물가 상승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캐나다 주요 주별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사진=CBC
캐나다 주요 주별 7월 소비자물가상승률.사진=CBC

소비자물가는 캐나다 전역에서 오르면서 캐나다인들의 삶에 영향을 미쳤다. 사스캐처원주의 물가상승률은 2.3%로 가장 낮았고 프린스 에드워드 아이랜드가 6.1%로 가장 높았다. 퀘벡주 동쪽 4개 주의 물가는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퀘벡주 물가는 4.1% 상승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물가가 계속 오를 거냐다. 지난해 수준이 낮았으니 아마도 오를 것이다. 캐나다 중앙은행인 뱅크오브캐나다(BOC)도 이런 이유로 올해 내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3%대를 유지할 것으로 본다. 캐나다는 한마디로 고물가 시대에 진입하는 것으로 보인다.

높은 물가상승률은 화폐가치를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은 아니다. 이는 조기 총선 선거운동에서도 잘 드러난다.

보수당의 에린 오툴 당대표는 물가상승이 자유당 정부의 무분별한 지출에 있다고 비난한다. 오툴 대표는 퀘벡시 선거전에서 쥐스뗑 트뤼도 총리와  자유당과 NDP 당을 싸잡아 "그들은 세금을 인상하기를 원한다"면서 "그들이 바로 인플레이션이 있는 이유"라고 비난했다.

쥐스땡 트뤼도 캐나다 연방총리. 사진=쥐스땡 트뤼도 총리 트위터
쥐스땡 트뤼도 캐나다 연방총리. 사진=쥐스땡 트뤼도 총리 트위터

자유당 대표인 트뤼도 총리도 변명할 게 적지 않은 듯하다. 트리도 총리는 밴쿠버에서 기자들을 만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경기부양을 위한 재정지출 등 경제운용을 옹호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기저효과를 제외하면 소비자 물가상승률은 여전히 2%에 근접한 수준이라며 연방정부를 옹호한다.  변동성 높은 에너지를 제외하면 1년 전에 비해 2.8% 상승했을 뿐이라는 주장도 있다.

코로나19 기간 동안 조기 총선을 실시해 정권을 다시 잡으려는 트뤼도 총리 정부나 물가상승 등을 근거로 트뤼도 정부를 비난하는 야당권의 주장에는 일리가 있어 보인다. 기저효과를 운운하는 전문가들의 주장도 이치에 닿아 보인다.

그럼에도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여러 가지 물건의 가격이 오르고 있다는 것은 틀림없다는 점이다. 코로나19로 공급차질이 생겨 비용이 상승한 측면이 있다. 동시에 연방정부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면서 주택과 내구재에 대한 소비지출을 늘리도록 하는 정책지원을 한 측면의 결과다.

이에 따라 캐나다 중앙은행인 BOC가 이처럼 높은 수준의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이목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캐나다 경제가 활동을 재개하고 코로나19에서 회복하는 동안은 BOC가 인플레이션을 용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BOC가 통화 완화를 축소함으로써 지속 상승하는 물가에 대응할 것으로 전망한다.

답은 아무도 모른다. 경제를 책임진 연방정부가 경기침체를 방관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돈을 풀지 않을 수 없었다.  또 경제활동이 재개되니 물가가 올라가는 것은 자연스런 일이다. 지난해 수준이 낮았으니 소비자물가가 관리목표인 2%를 넘었어도 BOC가 금리인상 카드를 꺼내지 않는 것도 어쩌면 당연하다.

따라서 지금 정부와 정치인, 경제계가 해야할 일은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맹위를 떨치는 시점에 캐나다 경제를 어떻게 하면 잘 운영할가에 집중하는 것이 아닐까? 캐나다 유권자들을 여기에 초점을 맞춘 공약을 보고 적임자를 뽑는게 캐나다 경제의 미래를 위해 더 좋은 일일 것 같다.

몬트리올(캐나다)=박고몽 기자 clementpark@gmail.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