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수출기업, 원자재 구매 가격 18.6% 상승... 영업이익 5.9% 감소
상태바
주요 수출기업, 원자재 구매 가격 18.6% 상승... 영업이익 5.9% 감소
  • 이정숙 기자
  • 승인 2021.11.19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경제연구원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 발표
기업 열 중 여덟,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영악화...영업이익 5.9% 감소

최근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주요 수출기업의 원자재 구매 가격이 평균 18.6% 상승하면서 영업이익은 5.9% 감소했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철강이 29.8%로 가장 높았다. 영업이익률은 일반기계와 선박이 8.8% 감소해 감소폭이 가장 컸다. 기업 열 곳 중 여덟 곳은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영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앞으로도 원자재 가격이 6개월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제품가격 인상과 원가절감 등으로 대응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 변동률.사진=한국경제연구원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영업이익 변동률.사진=한국경제연구원

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중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 조사'를 벌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12대 수출 주력 업종은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선박, 자동차부품, 디스플레이, 바이오헬스, 컴퓨터, 이동통신기기다.

조사 대상 기업들의 매출원가 중 원자재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제품 53.3%, 철강 46.7%, 전기전자 37.0%, 바이오헬스 36.2%, 일반기계‧선박 34.4% , 자동차‧부품 33.7% 등으로 조사됐다.

또 기업들이 구매하는 전체 원자재 중 수입 원자재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41.7%로 나타났다. 업종별 비중은  석유화학‧제품 47.9%,  바이오헬스 46.2%,  전기전자 45.0%,  일반기계‧선박 38.5%,  자동차‧부품 38.3%,  철강 27.5% 등이었다.

업종별 구매 원자재 가격 변화율.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업종별 구매 원자재 가격 변화율. 사진=한국경제연구원

조사결과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은 전년 대비 평균 18.6%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철강이 29.8% 올랐고, 이어 석유화학‧제품 26.3%, 일반기계‧선박 19.5%, 전기전자  12.5%,  바이오헬스 11.6%, 자동차‧부품 10.5%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 열곳 중 여덟 곳이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경영악화를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83%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경영 환경에 부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반면, 12%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 경영 환경에 별다른 영향이 없다고 응답했고, 5%만이 긍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다.

전년에 비해 올해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을 대상으로 영업이익의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 중 83.5%는 영업이익이 하락했다고 응답했다. 평균 영업이익 변동률은 5.9%로 조사됐다. 

업종별 영업이익 변동률은,  일반기계‧선박이 -8.8%로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석유화학‧제품 -7.1%,  바이오헬스 -6.0%, 철강 -5.7%,  자동차‧부품 -5.2%,  전기전자 -1.8%였다.

원자재 구매 가격이 상승한 기업들의 과반(65.2%)은  제품가격 인상(34.1%),  원자재 외 원가절감(31.1%)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고 답했다.

또  원자재 선구매와 확보 15.9%,  대체 원자재 발굴 12.2%,  대응없음 3.0%,  옵션 등 파생상품 활용 1.1% , 공장 가동 중단 0.4% 등의 대응방안을 제시했다.

 제품가격 인상을 통해 원자재 가격 상승에 대응한다는 기업들의 평균 제품가격 인상률은 13.8%로 나타났다. 업종별 인상률은 석유화학‧제품이 19.6%로 가장 높았고 이어 철강 18.4% , 일반기계‧선박 12.5%, 자동차‧부품 10.4%,  바이오헬스 7.5%,  전기전자 6.9% 순이었다.

원자재 가격 전망에 대해 기업의 76.1%가 원자재 가격 상승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것으로 응답했다. 적어도 내년 2분기인 2021년 4~5월까지는 원자재 가격 상승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 가격 상승 기간은 1개월 이내가 0.4%, 3개월 이내 3.3%,  6개월 이내 20.2%,  1년 이내 45.8%,  3년 이내 24.2%,  3년 이상 6.1% 등이었다.

기업들은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서 필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 안정적 원자재 수급처 확보(44.0%) , 원자재 수입관세 인하(37.9%),  폐자원 재활용 지원을 통한 원자재 확보(9.9%),  정부의 원자재 비축물량 방출(8.2%) 등을 제시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자원 빈국인 한국은 원자재의 수입 비중이 높아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취약하다"면서 "단기로는 원자재 수입관세를 내려 생산자 물가 안정화와 소비자 물가로의 전이를 막고, 장기로는 해외자원개발 지원 등을 통해 안정된 원자재 수급처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정숙 기자 kontrakr@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