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기준금리 1%로 인상…'제로금리 시대' 끝!
상태바
한은, 기준금리 1%로 인상…'제로금리 시대' 끝!
  • 이정숙 기자
  • 승인 2021.11.25 1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이 25일 기준금리를 연 0.75%에서 1%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지난해 3월부터 이어진 '제로(0)금리 시대'도 20개월 만에 막을 내렸다.이에 따라 대출금리, 주택담보대출금리 등도 더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경제가 점차 회복되는 가운데 높은 물가 상승세가 예상보다 장기화하고 있고 가계부채 증가 등 금융불균형도 이어지고 있어 한은이 내년까지 추가 인상 행보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서울 중구 한은 본관에서 통화정책방향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0.75%에서 1.00%로 0.25%포인트 인상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8월 기준금리 인상(0.50%→0.75%)후 10월 동결 후 3개월 만에 다시 기준금리를 올린 것이다.

기준금리를 1%로 올렸지만 아직 신종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전 수준(1.25%)에는 못 미친다.

기준금리가 1%대로 올라선 것은 지난해 3월 이후 1년 8개월 만이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인하하는 ‘빅 컷’을 단행했다. 이후 줄곧  0%대 기준금리가 유지됐다.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 사진=한국은행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물가와 가계 빚 급증, 부동산 등 자산가격 급등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균형이 커짐에 따라 선제 대응 차원에서 한 조치로 풀이된다. 한은은 이날 올해 경제성장률을 지난 8월과 동일한 4.0%로 전망하며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2.3%로 예상하며 기존(2.1%)보다 0.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국제유가와 원자재 값의 상승세가 계속되며 전 세계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커지고 있고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3.2% 오르며 9년 9개월 만에 최대 상승 폭을 나타냈다. 지난 4월 이후 6개월간 2%대의 높은 상승률을 이어오다 지난달 3%대로 진입했다.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달 전년 동월보다 8.9%가 오르며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은 커지고 있다.

가계부채 급증과 부동산 등의 자산가격 급등에 따른 금융 불균형 문제도 금리 인상 요인으로 꼽힌다. 한은에 따르면, 3분기 말 현재 가계신용 잔액은 184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36조7000억원 늘었다.

대출 규제 등의 여파로 증가 폭은 지난 분기(43조5000억원)보다 줄었지만, 1년 전보다는 10%(159조원)가 증가해 여전히 빠른 속도로 늘어나는 중이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잔액이 전 분기 말보다 20조8000억 원이 늘면서 상승 폭이 2분기(17조3000억원)보다 커졌다.

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b)가 이달 초 테이퍼링(단계별 자산 매입 축소)을 결정한 가운데 내년부터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면서 선제 인상 필요성도 커졌다.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는 높은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면 시장 예상보다 빨리 금리를 올릴 준비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때문에 시장에서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금융투자협회거가 지난 10~15일 벌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채권전문가 100명 중 90명은 이날 기준금리의 인상을 예상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12일 금통위 직후 기자회견에서 "경기 흐름이 예상대로 흘러간다면 다음 회의에서 기준금리 추가인상 고려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달 15일 국정감사 때도 "11월에 기준금리를 인상해도 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남은 것은 내년  기준금리 인상여부다. 기준금리 인상만으로 집값이나 가계대출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고,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금리 인상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대출금리 인상으로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이자 부담도 급격히 늘고 있다. 

이정숙 기자 kontrakr@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