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B-1B '랜서(창기병이라는 듯' 전략폭격기가 5일 한반도에 전개됐다. 이름에 걸맞게 사거리 370km와 900km인 장거리 공대지 순항미사일 '창'을 다량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1B 랜서가 한반도에 전개된 것은 북한의 6차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가 잇따른 2017년 12월 이후 5년 만이다.
한반도에 전개된 B-1B 랜서는 미국의 F-16 전투기 4대, 한국의 F-35A 전투기 4대와 훈련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군당국에 따르면, 미 공군 B-1B 랜서 전략폭격기 2대가 5일 오후 한반도에서 진행 중인 ‘비질런트 스톰’ 훈련에 참가했다.
미국과 한국은 북한의 잇따른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응해 지난달 31일부터 4일까지로 예정된 연합공중훈련 '비질런트 스톰'을 연장했다. 비질런트 스톰 훈련에는 미국의 단거리 수직이착륙 스텔스기 F-35B, 전자전기 EA-18 그라울러, U-2 고공정찰기, KC-135 공중급유기 등 100여 대와 한국 공군의 스텔스전투기 F-35A, F-15K 전투기 등 총 240여 대의 군용기가 참여하고 있다.
박정천 북한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은 지난 3일 공개된 담화에서 미한 연합훈련 연장이 “매우 위험하고 잘못된 선택”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죽음의 백조'로도 불리는 B-1B 랜서 폭격기는 북한이 두려워하는 미 공군의 장거리 전략폭격기로, 최대속도가 마하 1.25에 이르러 괌에서 한반도까지 2시간이면 도착해 작전을 펼칠 수 있다.

B-52, B-2와 함께 미국의 3대 전략폭격기 중 하나인 B-1B 랜서는 내부 무장창에 37t, 외부 날개 밑에 24t 등 최대 61t의 폭탄을 싣고 적진 상공을 비행할 수 있으며, 스텔스 기능을 갖춰 10km 밖에서도 레이더망에 걸리지 않는다.
B-1B가 탑재하는 다양한 무기 중 북한이 골치아파할 무기로는 장거리 공대지 스텔스 순항미사일 AGM-15A 재즘(JASSM)과 AGM-158B 재즘의 사거리 연장형(JASSM-ER), 장거리 공대함 순항미사일 AGM-158C LRASM이 꼽힌다. B-1B는 내부 폭탄창에만 최대 24발 탑재하는 것은 물론 기체 전방 타게팅 포드에도 장착할 수 있어 다량의 장거리 미사일 탑재 능력도 갖췄다.

재즘은 관통폭발파편형 탄두를 장착한 2000파운드급 무기다. 적외선 시커와 GPS재밍 대응장치가 탑재돼 전천후 주야간 작전 가능하다. 스텔스 설계가 적용된 기체 외형탓에 탐지가 어렵다. 재즘은 길이 4.27m, 지름 63.5cm, 펴진 날개 너비 2.4m에 총중량은 975kg이다. 탄두중량은 450kg이며 사거리는 370km다. 재즘-ER의 사거리는 900km다. 북한이 조밀하게 구축한 '방패망'인 지대공 미사일 요격 거리 밖에서 북한의 주요 지상 시설을 타격할 '예리한 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태평양공군사령부 공보실은 지난달 "사우스다코타주 엘즈워스 공군기지 소속 B-1B가 일상적인 폭격기 기동부대(BTF)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괌의 앤더슨 공군기지에 도착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당시 괌에 전진 배치된 B-1B랜서 4대 중 2대가 이날 훈련에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ttchung@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