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인상에도 한전 주가 11% 이상 하락한 이유?
상태바
전기요금 인상에도 한전 주가 11% 이상 하락한 이유?
  • 이수영 기자
  • 승인 2023.01.02 1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증권가 "인상률 적자 해소에 역부족" 평가

새해 첫 주식시장 첫 거래일인 2일  한국전력 주가는 11% 이상 하락했다. 정부가 전기요금 인상안을 발표했지만 적자 문제를 해소할 수 없다는 투자자들의 실망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이날 오는 2024년을 흑자 전환을 목표로 삼고 재정건전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 사진=한국전력
정승일 한국전력 사장. 사진=한국전력

2일 한국거래소에서 한전은 전 거래일(2만1800원)에 비해 11.24%(2450원) 내린 1만9350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2만1200원으로 거래를 시작한  한전은 내림폭을 키우며 줄곧 하향 곡선을 그렸다.

한전  주가 하락은 최근 정부가 내놓은 전기요금 인상안이 적자 해소에는 큰 도움이 안 된다는 견해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은 지난달 30일 올해 1·4분기 전기요금을 1kWh당 13.1원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2022년 4분기와 비교하면 9.5% 오른다.이는 산업부와 한전이 국회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밝힌 연간 전기요금 인상 적정액 1kWh당 51.6원에 비하면 4분의 1에 그친다. 이 때문에 적자해소에는 미흡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황성현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예상수준의 실망스러운 전기요금 발표였다면서 "시장 눈높이를 밑도는 요금 인상은 유틸리티 섹터 투자심리에 부정적"이라고 평가절하했다.황성현 연구원은 "누적된 적자 해소를 위해 한국전력이 요청한 요금 인상 규모는 kWh 당 50원 이상이었으며, 시장은 기준연료비 최소 20~30원 인상을 기대했다"면서 "컨센서스를 크게 하회하는 요금이 발표되며, 공공요금 규제를 받는 유틸리티 섹터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영향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덧붙였다. 

황 연구원은 "2022년 3분기 기준, 한전의 1 년 만기 회사채 규모는 10조 원 수준이며, 4 분기 현금흐름과 보유 중인 시가 50조 원 수준의 토지와 건물을 활용한 담보대출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디폴트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한다"면서 "이번 요금 인상으로 영업적자 규모도 13조 원 수준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현재 자기자본에 적용하면 2023년에 자본잠식이 발생 할 가능성도 낮아 추가인 요금 인상은 어려울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나민식 SK증권 연구원은 "이번 인상 폭은 기존에 산업부가 주장한 전기요금 인상 폭의 4분의 1 수준으로 주식 시장 기대치를 밑도는 수치"라면서 "이번 전기요금 인상으로 매출이 연간 7조3000억 원 늘어나겠지만, 올해 연간 영업적자가 30조 원 규모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숫자는 아니다"고 평가했다. 나민식 연구원은 지난달 19일 낸 보고서에서 "시장에 형성된 전기요금 기대치는 (한국전력의) 컨센서스 매출액을 통해 읽어낼 수 있다"면서 "2022년 전력 판매단가와 비교하면 kWh당 29원을 인상해야 시장 기대치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전기요금 인상이 단행되는 것은 한국전력의 실적 개선에는 긍정적이지만 적자를 해소할 수 있을 정도로 인상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키움증권은 지난해 11월 낸 보고서에서 2022년 연간 영업적자를 28조 8000억 원으로 예상하고 2023년에는 원가부담이 완화되는 반면 전기요금은 2022년 인상분의 누적반영과 2023년 가 인상으로 영업적자폭이 4조 9000억 원으로 크게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목표주가를 2만2000원으로 하향했다.

한편, 정승일 한전 사장은 이날 사내 방송한 신년사에서 "늦어도 오는 2024년까지 흑자 전환을 목표로 삼고 혁신하고 재정건전화에도 차질없이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 사장은 "(목표 달성을 위해) 요금 조정과 함께 자구노력, 정부 재정 지원 등의 수단을 총동원할 것"이라면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단계 조정을 거쳐야 하는데, 추가 제도 개선 등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올해 집중해야 할 핵심가치는 효율과 편익"이라면서 "오는 2026년까지는 누적적자는 물론 미수금을 모두 회수해서 재무 상황을 위기 이전 상태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수영 기자 isuyeong@gmail.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