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쌀밥 안 먹는다...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 56.7kg '역대 최소'
상태바
한국인 쌀밥 안 먹는다...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 56.7kg '역대 최소'
  • 박태정 기자
  • 승인 2023.01.27 1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 공급과잉 위해 전작 독려...야당, 과잉생산 쌀 의무매수 양곡관리법 강행

"우리 국민 쌀밥을 먹지 않는다"

우리 국민들의 쌀 소비량이 해마다 감소하면서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이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빵,피자, 육류 등 대체 식품이 많아지고 탄수화물을 피하는 식문화로 소비형태가 달라진 결과로 풀이된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회 과반이상을 차지한 거대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매수하도록하는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우리 국민의 쌀 소비량이 해마다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탔다.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56.7kg으로 3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집계됐다. 사진=픽사베이
우리 국민의 쌀 소비량이 해마다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탔다.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56.7kg으로 30년 전의 절반 수준으로 집계됐다. 사진=픽사베이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양곡소비량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56.7㎏으로 집계됐다. 이는 2021년에 비해 0.4%(0.2㎏) 감소한 수치다.

30년 전인 1992년(112.9㎏) 소비량과 비교하면 절반 수준이며 10년 전인 2013년 67.2kg에 비해서도 10kg이 줄었다.

1인당 하루 쌀 소비량은 155.5g 수준으로 1년 전보다 0.2%(0.3g) 줄었다. 하루 쌀 소비량은▲2013년 184g ▲2019년 162.1g ▲2020년 158.0g ▲2021년 155.8g ▲2022년 155.5g 등 해마다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 연간 1인당 쌀 소비량 추이(1982~2022년) 사진=통계청
연도별 연간 1인당 쌀 소비량 추이(1982~2022년) 사진=통계청

쌀 소비만 줄어들고 있는 게 아니다. 밀가루와 보리 등 기타 양곡 소비량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해 1인당 연간 기타 양곡 소비량은 8.0㎏으로 전년 대비 2.4%(0.2㎏) 줄었다. 밀가루(0.9㎏), 잡곡(0.9㎏) 소비량은 전년 대비 감소했고 보리쌀(1.6㎏)은 늘었다.

전체 양곡 소비량에서 기타 양곡 소비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12.3%로 전년에 비해 0.3%포인트 하락했다.

CJ제일제당이 생산하는 즉석밥 '햇반'은 가계에서 쌀 소비가 줄어드는 것과 대조되게 제조업계 쌀 소비를 촉진하는 상품으로 각광 받고있다.사진=CJ제일제당
CJ제일제당이 생산하는 즉석밥 '햇반'은 가계에서 쌀 소비가 줄어드는 것과 대조되게 제조업계 쌀 소비를 촉진하는 상품으로 각광 받고있다.사진=CJ제일제당

가계의 쌀 소비는 줄었지만 가공식품으로 소비하는 쌀은 소폭 증가했다. 식료품·음료 제조업 부문 쌀 소비량은 69만1422t으로 전년 대비 1.7% 늘었다. 업종별로는 떡류 제조업(26.8%)와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제조업(20.9%),주정 제조업(17.6%),기타 곡물가공품제조업(9.3%)이 사업체 부문 소비량의 74.5%를 차지했다.

레토르트 식품이나 냉동식품, 즉석밥 등 반조리식품을 제조하는 기타 식사용 가공처리 조리식품 제조업의 쌀 소비량이 27.2% 증가하면서 쌀소비를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주정 제조업의 쌀 소비는 줄었다.

쌀 소비가 줄어들고 있지만 쌀 생산량은 크게 줄지 않고 있다. 지난해 쌀 생산량은 376만4000t으로 전년보다 3% 감소했다. 그래도 예상 수요량 360만9000t에 비교하면 15만톤 이상 초과 생산되는 양이다. 올해도 쌀 과잉 공급이 예상된다. 

사정이 이런데도 더불어민주다이 과잉 생산된 쌀을 정부가 의무적으로 매입하는 내용의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다.이 법안은 쌀이 수요량의 3% 이상 초과 생산되거나 수확기 가격이 전년보다 5% 이상 하락할 경우, 정부가 쌀을 의무매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30일  국회 본회의에서 강행처리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쌀 과잉 공급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전략작물직불제를 도입하는 등 농가의 재배작물 전환을 독려하고 있다. 그러나 야당이 양곡관리법 개정안을 추진하면서 정부의 재배 작물 다양화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수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박태정기자 ttchung@hanmail.net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