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점] 일본은행의 피벗...7년 만에 금리 인상, 마이너스 금리 종료
상태바
[초점] 일본은행의 피벗...7년 만에 금리 인상, 마이너스 금리 종료
  • 이수영 기자
  • 승인 2024.03.19 1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금융센터 '완화적'으로 평가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억제하는 '대모 금융완화'의 핵심인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2016년 2월 이후 8년 만에 해제했다. 일본은행이 세게에서 유일하게 유지해온 마이너스 금리를 종지부를 쩍고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도 종결지었다. 그러나 이날 도쿄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엔화 환율은 150.3엔대까지 치솟아 26년여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BOJ가 금리인상이나 국채 매입 축소 등 추가 정책 정상화 조치는 일러야 4분기일 가능성이 있으며 BOJ가 추가 정상화에 적극 나설 시점은 2% 목표 물가 안착을 확인하고 난 후인 내년과 내후년일 가능성이 우세하다는 증권사 전망도 나왔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통화정책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재팬타임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통화정책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재팬타임스

BOJ는 이날 금융결정책회의에서 -0.1%인 단기 정책금리(당좌예금 정책잔고 금리)를 0~0.1%로 유도하기로 하면서 2007년 2월 이후 17년 만에 단기금리를 인상했다.

BOJ는 국채를 무제한 매입해 장기 금리(10년 만기 국채 금리)를 인위로 끌어내리는 수익률곡선통제(YCC)도 종료하기로 했다. 또 BOJ는 일본 기업 주식을 사들여 증시를 떠받쳐온 상장지수펀드(ETF) 매입도 멈추기로 했다. 

BOJ는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대신 금리 상승 허용폭이란 제도를 운용하면서 대규모 금융 완화를 이어왔지만 국채·ETF 매입 등으로 BOJ 부담이 커졌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일본이 발행한 국채 1066조 엔(약 9497조 원) 가운데 53.9%인 574조엔어치를 BOJ가 보유하고 있다. 올해 2월 말 기준 일본은행이 보유한 ETF의 시가총액은 71조 엔으로 도쿄증시 최상위 시장인 프라임시장 전체 시총의 7%를 넘는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금융결정정책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임금과 물가의 선순환을 확인하고 2% 물가 목표가 지속적·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상황에 도달했다고 판단했다"면서 "지금까지 수익률곡선 제어(YCC)와 마이너스 금리 정책과 같은 대규모 통화완화 정책이 한몫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일본의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3.1%로 1982년 이후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일본은행은 지난해 1월 2024년과 2025년 물가상승률을 각각 1.6%와 1.8%로 내다봤지만 1년 뒤인 지난 1월에는 예상치를 각각 2.4%와 1.8%로 대폭 올려 잡았다.

우에다 총재는 "이번 결정으로 예금 금리나 대출 금리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BOJ가 기준금리를 올해 연 0.25%, 내년 연 0.5% 정도로 완만하게 올려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우에다 총재는 금융정책 변경에 따른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당분간 완화적 금융 환경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우에다 총재는 "단기금리 조작을 주된 정책 수단으로 삼아 경제·물가 정책에 따라 적절히 금융정책을 운영하겠다"면서 "현 시점의 경제·물가 전망을 전제로 한다면 당분간 완화적 금융환경이 계속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제금융센터는 BOJ의 통화정책 결정은 대체로 시장참가자들의 예상에 부합했으며 국채매입 지속 결정 등은 완화적(dovish hike)으로 평가했다. 강영숙 선진경제부장은 이날 이같이 평가하고 "현행 수준 국채 매입 지속 결정, 완화적 금융환경 지속 전망은 금리 상승 기대를 약화시키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강영숙 부장은 "임금과 물가 지표가 호조세를 이어갈 경우에는 금융시장이 연내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을 확대 반영하기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3월과 4월 중소기업 춘투 결과, 4월 금정위 경기와 물가 전망 수정 여부가 관전 포인트"이라고 덧붙였다.

김찬희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17년 만에 금리 인상의 첫 발을 디딘 BOJ는 2~3분기까지 정책 정상화에 따른 영향을 가늠하는 시기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금리 인상 또는 국채 매입 축소 등 추가 정책 정상화 조치는 빨라야 4분기일 가능성이 높다"고 내봤다. 김찬희 연구원은 "그럼에도 일본경제가 구조적인 디플레이션으로부터의 탈출 가능성이 높아진 것 은 분명하다. 1990년대 버블경제 붕괴 이후 처음으로 서비스물가가 2%를 추세로 상회했고 이는 임금 인상에 따른 수요측 물가 상승 압력 확대를 시사한다"면서 "BOJ가 추가 정상화에 적극 나설 시점은 2% 목표 물가 안착을 확인하고 난 후인 내년과 내후년일 가능성이 우세하다"고 강조했다. 

이수영 기자 isuyeong2022@gmail.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