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저 지속 시 아시아 신흥국 통화 평가절하 압력 동조화"
상태바
"엔저 지속 시 아시아 신흥국 통화 평가절하 압력 동조화"
  • 이수영 기자
  • 승인 2024.05.30 14: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금융센터 경고

달러화에 대한 엔화 가치 하락(엔저)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신흥국 통화들의 평가절하 압력이 커지고 핫머니 성향의 엔 캐리 투기자금이 유입돼 정책 당국의 부담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엔 캐리트레이드란 금리가 싼 일본 엔화 자금시장에서 싸게 엔화를 빌려 더 높은 금리를 주는 나라의 예금에 투자해 큰 수익을 올리는 투자방식을 말한다.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권역 통화의 평가절화 동조합 압력도 높아지면서 정책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일본 엔화. 사진=CNews DB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권역 통화의 평가절화 동조합 압력도 높아지면서 정책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일본 엔화. 사진=CNews DB

국제금융센터의 김위대 경제리스크분석 부장은 30일 '초엔저 지속 시의 아시아 신흥국 외환시장 영향'이라는 보고서에서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정책 전환 속도 지연이 엔화 약세를 지지한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기준금리는 연 5.25~5.5%, 일본은 0.1% 수준이다

김위대 분석부장은 "일본은행의 추가 금리인상 속도가 더딜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Fed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도 계속 지연되면서 엔화가치 반등이 지연되고 있다"면서 "지난 3월 BOJ가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종료했으나 1분기 성장둔화와 BoJ 의 완화적 스탠스 등을 감안하면 통화긴축 강화 속도는 더딜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엔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3시 현재 달러당 156.90~156.91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1990년초 이후 최저 수준이다. 

엔달러 환율 추이.사진=국제금융센터
엔달러 환율 추이.사진=국제금융센터

그는 엔화 약세의 영향으로 ▲아시아 신흥국 통화절하 압력 동조화,▲핫머니 성향의 엔캐리 투기자금 유입, ▲각국의 금리·외환정책 제약 증가 등을 꼽았다.

김 부장은 평가절하 압력 동조화와 관련, 과거 엔저 시기 아시아 통화들은 대부분 동반 약세를 보였다고 전제하고 현재도  동조화가 진행되고 있으나 국별 기초경제 여건에 따라 절하 폭은 차별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핫머니 성향 엔캐리 자금 유입과 관련해서는 김 부장은 지난 2022년 이후 이사아 권역에서도 고금리 국가가 늘면서 유인이 상승했으나 대 선진국 캐리보다 단기투자여서 외환 유출입이 빈번할 소지가 있다고 지적했다.

과거 엔화 평가절하 시기와 이유. 사진=국제금융센터
과거 엔화 평가절하 시기와 이유. 사진=국제금융센터

인도의 정책금리는 6.5%, 인도네시아는 6.25%, 필리핀은 6.5% 등으로 높아 엔캐리 투자 유인이 상존하고 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일본의 전세계 증권투자 잔액은 지난해 4조 4000억 달러로 아시아 투자 잔액은 전년 대비 13.8% 증가했다.

김 부장은 "아시아 관련국 외환시장이 협소한 편이어서 동시 유출 시 상당한 절하압력이 발생한다"고 진단했다. 아시아 통화 중 정책금리가 높은 인도(6.5%), 인도네시아(6.25%), 필리핀(6.5%) 등지로 엔캐리 투자 유인이 상존하고 있다. 

보통 통화 평가절하는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요인이 되지만 한국과 일본, 중국 등에서 중간재를 수입해 가공해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으로 최종재를 수출하거나 중국 등 인접구국에 중간재를 다시 수출하는 비슷한 수출 구조를 가진 동남아권에서 환율이 동반 절하될 경우에는 수출진작 효과가 상쇄될 소지가 있다.

그는 이에 따라 역내 신흥국들은 Fed의 고금리 유지로 통화정책에 제약을  받고 있는 가운데 엔저의 영향이 커질수록 BoJ 정책을 모니터링할 필요성도 커졌다고 강조했다. 

김 분석부장은 "엔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아시아 신흥국 외환시장 내 쏠림현상이 심화하고 교란요인이 증가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에게 정책 부담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그는 특히 자국통화가 엔저 영향을 크게 받는 상황에서 외환시장 안정성(급속한 동반절하 억제) 확보를 위해 금리인상을 단행할 시에는 내수경기를 저해할 리스크가 증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수영 기자  isuyeong2022@daum.net

Tag
#ed #ews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