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중·러 궁극적 목표는 미군 역내 진입 차단"
상태바
"북·중·러 궁극적 목표는 미군 역내 진입 차단"
  • 박태정 기자
  • 승인 2020.10.23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사일 방어 의존 셈범 안 통해

중국과 러시아가 극초음속 활강미사일 등의 역량을 고도화하고 있는 궁극 목표가 미군의 역내 진입 차단에 있다는 미국 전문가의 분석이 나왔다. 이들은 미사일 방어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면서 미국이 역내 미군기지의 생존성을 높이는 방안을 고심할 시점이라고 밝혀 미군 당국의 대응이 주목된다.

지난해 10월1일 중국 국경절 군사퍼레이드에서 공개된 중국 둥펑(DF)-17 극초음속 미사일.사진=SCMP
지난해 10월1일 중국 국경절 군사퍼레이드에서 공개된 중국 둥펑(DF)-17 극초음속 미사일.사진=SCMP

판다 선임연구원은 22일(현지시각) 전략국제문제연구소 (CSIS)가 주최한 화상대담에서 러시아와 중국은 미국의 방어 역량이 북한과 이란으로부터의 제한된 수량의 탄도미사일 공격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018년 3월 담화에서 마하 20 속도로 비행할 수 있는 극초음속 무기 '아방가르드' 등을 공개하면서 그런 의중을 명백히 내비쳤다고 그는 주장했다.

`김정은과 폭탄’의 저자인 판다 선임연구원은 러시아는 이미 전략 차원에서 미국의 미사일 방어체계를 뚫을 수 있는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면서 이런 신형 무기 개발은 특정 전구에 불안을 조성하는데 초점을 두고 설계됐다고 진단했다.

또 중국이 올해 공개한 둥펑-17 극초음속 미사일도 비슷한 셈법에 따라 실전배치가 추진되고 있다며, 인도태평양 내 불안 조성 목적이 가장 크다고 말했다. 

탄도미사일 방어능력을 갖춘 알리버크급 이지스구축함 '벤포드'함이 남중국해를 항해하고 있다.사진=미해군
탄도미사일 방어능력을 갖춘 알리버크급 이지스구축함 '벤포드'함이 남중국해를 항해하고 있다.사진=미해군

판다 선임연구원은 러시아와 중국이 지금까지 전략무기에 의존한 방식을 탈피하고 있다면서 두 나라가 핵이 탑재되지 않은 전략무기로 미 본토와 잠재적으로는 핵 통제체계까지 타격하는 셈법을 고려하고 있는 만큼 미래에 직면할 도전과제로서 심각하게 대응 방향을 논의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판다 선임연구원은 또 한국과 일본의 미군 전진기지들은 이 같은 적성국들의 최신 역량에 가장 취약하다며, 분산 배치와 미사일 방어 강화, 위장을 통해 약간의 생존성을 높일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손쉬운 표적이 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지상기반 전진기지의 효과적인 생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지상병력의 이동성을 무제한에 가깝도록 늘릴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전략국제문제연구소 미사일 방어프로젝트 부국장도 이날 대담에서 주한미군을 포함한 전진기지는 유사 시 본토 증원병력이 도착하기 전 까지 적군을 막는 '교두보' 역할을 해왔지만, 적성국들은 최근 이를 무력화하려 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윌리엄스 부국장은 적성국들의 이런 반지역/접근거부 (A2/AD) 역량 강화는 주한미군처럼 고도로 밀집된 미군 전진기지의 효용성에 의문을 낳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이는 단순히 러시아와 중국의 최신 무기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며, 북한의 값싼 무인기도 궁극으로는 이들 나라들과 목표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미사일이든 북한이 500달러 가격의 무인기를 사용하든 주한미군이 운용하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사드)의 레이더인 TPY-2를 제거하는 효과는 동일하다고 그는 설명했다.

윌리엄스 부국장은 더 이상 미사일 방어에만 의존하는 셈법은 적용하기 힘들다며, 한반도 유사시 공격 역량과 통합하는 방안을 시급히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북한이 고체연료 기반 미사일 체계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추세에서 발사 시차는 극도로 짧아질 것이며, 더 이상 적군이 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는 여유가 없어졌다는 주장이다. 

윌리엄스 부국장은 "미사일 방어와 함께 원점타격을 포함한 공격 역량의 통합이 효과적이라며, 미국이 개발 중인 극초음속 미사일의 신속성과 정확도가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