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25일 금리 인상 유력
상태바
한국은행 25일 금리 인상 유력
  • 이정숙 기자
  • 승인 2021.11.22 08: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0.75%에서 1%로 상향조정 전망 우세...1년8개월 만에 1%대 시대 다시 복귀

한국은행이 오는 25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현재 연 0.75%인 기준금리 조정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연이어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시그널을 보내온 만큼 이번 금통위에서 재차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금융시장은 관측하고 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국제금융센터는 22일 보고서에서 한은이 8월에 이어 추가 금리인상 전망이 우세하다고 전했다. 한은은 지난 8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5%에서 0.75%로 올렸다.

국제금융센터는 "이번 경제 전망에서 성장률(2021년 4%, 2022년 3%),  물가(2.1%, 1.5%) 전망치의 변경폭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은이 이번에 기준금리를 0.25% 인상한다면 지난해 3월 0%대 기준금리에 진입한 이후 1년 8개월여만에 1%대로 회복한다.  코로나19와 함께 찾아온 '0%대 기준금리 시대'가 끝나는 셈이다.

한은은 지난해 3월 임시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를 종전 1.25%에서 0.75%로 인하하는 이른바 '빅컷'을 단행하면서 제로금리 시대의 문을 열었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방책이었다. 곧이어 열린 5월 금통위에서 또 내려 기준금리는 역대 최저 수준인 0.50%까지 낮아졌다. 

기준금리 추이.금융통화위원회는 8월26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를 인상했고 10월12일 회의에서는 동결했다. 사진=한국은행
기준금리 추이.금융통화위원회는 8월26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를 인상했고 10월12일 회의에서는 동결했다. 사진=한국은행

그러나 코로나19 백신 접종 본격화와 함께 미국의 자산매입 축소 등 전 세계 중앙은행이 다시 돈줄을 조이는 방향으로 돌아서자 한국은행도 지난 8월 기준금리 인상에 시동을 걸었다.

이주열 총재는 이후에도 수차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언급해왔다.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추가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번에도 0.25% 올린다면 기준금리는 1%로 올라선다. 

금융시장은 기준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면서 이 총재의 입에 주목하고 있다. 내년에도 추가 기준금리 인상이 유력한 가운데 인상 속도에 대한 시그널을 보낼 가능성이 큰 탓이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이달부터 테이퍼링(자산매입 축소)에 이어 내년부터 정책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란 시그널을 보내고 있어 한은도 선제 대응하기 위해 내년에도 미국과 비슷한 속도로 추가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중론이다.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금통위가 내년에도 두 차례정도 기준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통위는 1년에 8번 열린다. 3월과 6월, 9월과 12월 금통위는 기준금리를 결정하지 않는다. 내년 3월 9일엔 대통령 선거가 이뤄지고 3월 말에는 이 총재 임기가 끝난다. 이런 정치 일정을 감안하고 차기 금통위에 대한 부담을 덜어준다는 측면에서 내년 1월과 2월 열리는 금통위에서 연이어 기준금리 인상 결정이 나올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물론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 속도조절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지난 11일 '2021 하반기 경제전망'을 통해 금리인상이 경기회복을 지나치게 제약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요가 있다면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 조절 필요성을 제기한 게 예이다. 

특히 금융당국이 계대출을 옥죄면서 꼭 필요한 가계대출까지 막고 있다는 금융 소비자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게다가 금리인상으로 은행 수익이 눈덩이처럼 불어난다는 불만, 부동산값을 잡는다고 대출을 옥죄자 굳이 대출을 받을 필요가 없는 고소득자만 이득을 본 사례가 있다는 비판도 나온다. 이 뿐만 아니라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늘고 있어 코로나19 사태는 여전히 진행형이다.  금통위원들의 깊은 고심과 세심한 결정이 요구되는 시점이 아닐 수 없다. 

이정숙 기자 kontrakr@naver.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