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올해 성장률 2.7%, 물가 6% 넘어"
상태바
한은 "올해 성장률 2.7%, 물가 6% 넘어"
  • 이수영 기자
  • 승인 2022.07.13 13: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은행은 올해 소비자물가가 6%를 웃돌고 성장률은 지난 전망치(2.7%)를 다소 밑돌 것으로 내다본다.한은은 기준금리를 한 번에 0.50%포인트 올리는 빅스텝(Big Step)을 사상 처음으로 단행했지만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경제의 성장률은 2.7%를밑돌고 물가상승률은 6%를 웃돌 것이라며 금리 상승 기조를 이어갈 방침을 분명히 했다.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를 기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월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은 올해 우리경제의 성장률은 2.7%를밑돌고 물가상승률은 6%를 웃돌 것이라며 금리 상승 기조를 이어갈 방침을 분명히 했다. 6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6%를 기록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월26일 금융통화위원회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한국은행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13일 오전 열린 통화정책방향 회의 의결문에서 "소비자물가는 당분간 6%를 상회하는 높은 오름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올해 상승률도 5월 전망치(4.5%)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금통위는 "앞으로 국내경제는 소비 회복세가 이어지겠지만, 주요국 성장세 약화의 영향으로 수출이 둔화하면서 올해 성장률이 지난 5월 전망치(2.7%)를 다소 하회할 것"이라면서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도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지난 5월 발표한 수정 경제 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예상치를 3.0%에서 2.7%로 낮추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경우 3.1%에서 4.5%로 크게 높여 잡았다. 

또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같은달에 비해 6% 상승했다. 이는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23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원유를 비롯한 원자재와 곡물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어 소비자물가상승률이 7~8월에는 7%대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와 있다.

6월 수출이 16개 월 만에 한자릿수인  5.4%중가하는 데 그치면서 6월 무역수지(수출입차)가 24억 7000만 달러 적자를 내는 등 상반기 무역적자 103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항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6월 수출이 16개 월 만에 한자릿수인  5.4%중가하는 데 그치면서 6월 무역수지(수출입차)가 24억 7000만 달러 적자를 내는 등 상반기 무역적자 103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출항에서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있다. 사진=산업통상자원부

금통위는 "수출 증가세가 다소 둔화됐으나 민간소비가 회복세를 지속했으며 설비투자는 부진이 완화되는 모습을 나타냈다"면서 "고용 상황은 큰 폭의 취업자수 증가가 이어지는 등 개선세를 지속했다"고 덧붙였다.

금통위는 향후 방향에 대해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 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하여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금통위는 앞서 이날 오전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연 2.25%로 0.50%포인트 인상했다. 지난 4월과 5월에 이어 세 차례 연속 기준금리 인상이다. 이번 조치에 따라 2014년 10월 이후 7년 8개월 만에 금리가 2.25% 수준에 도달했다.

금통위는 사상 첫 빅스텝을 단행한 데 대해 "높은 물가상승세가 지속되고 단기 기대인플레이션도 크게 높아지고 있어 당분간 고물가 상황 고착을 막기 위한 선제적 정책 대응이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지금은 물가 상승세가 가속되지 않도록 0.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통해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확산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도 시사했다. 금통위는 "물가가 상당 기간 목표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기준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금통위는 "향후 금리 인상 폭과 속도는 성장·물가 흐름,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를 포함한 해외경제 상황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수영 기자 isuyeong2022@gmail.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